-
- 텀블러와 '기후들병' [허준혁한방]
- 텀블러와 '기후들병' [허준혁한방]대한민국은 커피공화국이다. 2023년 한국인이 1년 동안 마신 커피 소비량은 405잔으로 세계 평균 소비량 152잔보다 3배 가...
- 2024-10-07
-
- '세종대왕 나신 날' 제정을 맞아 '생가복원', '한국어의 날'을 제안함 [허준혁한방]
- '세종대왕 나신 날' 제정을 맞아 '생가복원', '한국어의 날'을 제안함 [허준혁한방]내년부터 5월 15일 스승의 날에 ‘세종대왕 나신 날’...
- 2024-10-01
-
- 홍시와 울 엄마, 추석과 감나무 [허준혁한방]
- 홍시와 울 엄마, 추석과 감나무 [허준혁한방]"생각이 난다/홍시가 열리면/울 엄마가/생각이 난다/(중략)/눈이 오면 눈 맞을 세라/비가 오면 비 젖을 세라/험한 ...
- 2024-09-17
-
- 기후위기와 김치의 '멸종위기' [허준혁한방]
- 기후위기와 김치의 '멸종위기' [허준혁한방]최근 영국 로이터통신은 '한국산 배추김치가 기후변화로 사라질 수 있다'라고 경고를 해 충격을 주고 ...
- 2024-09-14
-
- 철지난 표준어정책 "사투리를 살리자" [허준혁한방]
- 철지난 표준어정책 "사투리를 살리자" [허준혁한방]쭈꾸미, 꼼장어, 깡총깡총, 오돌뼈, 어줍잖다의 공통점은? 비표준어, 즉 '틀린' 말이다. 주꾸미, 곰장...
- 2024-08-20
-
- 소나기가 내리면 몸은 피하되 눈까지 돌리지 마라 [허준혁한방]
- 소나기가 내리면 몸은 피하되 눈까지 돌리지 마라 [허준혁한방]빨-주-노-초-파-남-보... 어린 시절, 비 온 뒤 맑게 개인 하늘에 일곱 빛깔의 무지개가 나타나면 ...
- 2024-08-04
-
- '꼽사리 끼기'와 '새끼줄 치기' [허준혁한방]
- '꼽사리 끼기'와 '새끼줄 치기' [허준혁한방]송사리 5마리가 소풍을 갔다. 한참을 가다 보니 6마리로 늘어나 있었다. 행렬에 끼어든 녀석을 보고 말...
- 2024-07-11
-
- 한국어의 세계화와 UN공용어 지정 [허준혁한방]
- 한국어의 세계화와 UN공용어 지정 [허준혁한방]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하는 국가가 2014년 11개국에서 지난해 23개국까지 늘어난 데 이어 올해 24개국으로 확...
- 2024-07-05
-
- 왜 "비 오는 수요일엔 빨간 장미와 막걸리에 파전"일까? [허준혁한방]
- 왜 "비 오는 수요일엔 빨간 장미와 막걸리에 파전"일까? [허준혁한방]1983년 어느 날... 대학에 갓입학한 한 남학생은 동갑내기 여학생에게 사랑을 고백했다. 그...
- 2024-07-02
-
- 베토밴이 귀머거리가 된 이유와 술 권하는 사회 [허준혁한방]
- 베토밴이 귀머거리가 된 이유와 술 권하는 사회 [허준혁한방]베토밴이 귀머거리가 된 이유를 아는 사람은 드물다. 술자리에서 옆사람 술잔이 빈 줄 모르고 따...
- 2024-06-14
-
- 숟가락-젓가락의 날(수저데이) [허준혁한방]
- 숟가락-젓가락의 날(수저데이) [허준혁한방]최근 들어 금수저, 은수저, 흙수저 등의 신종 관용어가 생겼는데 사실 최고급 숟가락은 금수저가 아닌 은수저였다....
- 2024-06-09
-
- 우리 겨레에게 숟가락이 지니는 의미 [허준혁한방]
- 우리 겨레에게 숟가락이 지니는 의미 [허준혁한방]숟가락의 받침이 'ㄷ'(디귿)인 이유젓가락은 받침이 'ㅅ'(시옷)인데 숟가락은 왜 'ㄷ'(디귿)...
- 2024-05-31
-
- [허준혁한방] 오늘은 또 어떤 좋은 일이 생길까?
- [허준혁한방] 오늘은 또 어떤 좋은 일이 생길까?행복한 일을 생각하면 행복해진다.비참한 일을 생각하면 비참해진다.무서운 일을 생각하면 무서워진다.병을 ...
- 2024-05-20
-
- 발명의 날, 사랑이 만든 위대한 발명품들 [허준혁한방]
- 발명의 날, 사랑이 만든 위대한 발명품들 [허준혁한방]윌리엄과 수술용 장갑30대 초반의 나이에 미국 최초로 담낭 절제술을 성공시킨 윌리엄 스튜어트 할스테...
- 2024-05-19
-
- 스승의 날과 '민족의 스승' 세종대왕 [허준혁한방]
- 스승의 날과 '민족의 스승' 세종대왕 [허준혁한방]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이날이 세종대왕의 탄신일을 기려 정한 날인 줄 모르는 분들이 많다. 한글을...
- 2024-05-14
-
- 세계시장의 새로운 전략 ‘한글 디자인’과 ‘한글마케팅
- 한글학회 2024.5|한글과 우리|세계시장의 새로운 전략 ‘한글 디자인’과 ‘한글마케팅’허준혁 유엔피스코 사무총장unpeacekor@naver.com국내외 명품 ...
- 2024-05-07
-
- 어린이날 되돌아보는 <소년소녀의 선서문> [허준혁한방]
- "우리는 왜족에게 짓밟혀 말하는 벙어리요 집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 집과 우리 글을 찾기로 맹세합니다. (중략) 우리는 또다시 집도 빼앗...
- 2024-05-05
-
- 사랑이 ♥모양인 이유 [허준혁한방]
- 사랑이 ♥모양인 이유 [허준혁한방]살다(Live), 사랑하다(Love), 맡기다(Leave)... 이 단어들은 모두 믿다(Believe)에서 유래합니다. 믿다(BeLIEve)라는 단어에 거짓말...
- 2024-05-03
-
- '설마'와 '하인리히법칙' [허준혁한방]
- '설마'와 '하인리히법칙' [허준혁한방]'설마'가 결국 현실이 되었다. 한국 축구가 8강전에서 인도네시아에 패해 파리올림픽 진출이 좌절되었...
- 2024-04-26
-
- 에어컨없는 파리올림픽과 기후위기 [허준혁한방]
- 에어컨없는 파리올림픽과 기후위기 [허준혁한방]에어컨은 1902년 미국 공학기술자 윌리스 캐리어가 발명했다. 흔히 볼 수 있는 에어컨 '캐리어' 로고도 ...
- 2024-04-26
- 최신뉴스더보기
-
-
- UN피스코 호치민 협의회(회장 이원자), 빈호아 복지시설 봉사활동
- UN피스코 호치민 협의회(회장 이원자)에서 1월 19일 동나이성 빈호아에 있는 복지시설(신생아, 미혼모, 고아, 장애아, 무의탁 노인= 70명)을 방문하였다. UN피스코 호치민 협의회(회장 이원자)에서 1월 19일 동나이성 빈호아에 있는 복지시설(신생아, 미혼모, 고아, 장애아, 무의탁 노인= 70명)을 방문하였다. 생명의 가치를 누구보다 소중...
-
- UN피스코, 다문화가정에 후원물품 기증식
- 새해 첫 후원물품전달식한국외국어대학생들이 기부한 환경세제를 장두억 지구촌 다문화연맹 회장에게 전달하였습니다새해에는 아름다운 후원기부문화가 꼬리에 꼬리를 무는 가 정착되기를 기원합니다
-
- [허준혁한방] 추억의 뱀 주사위놀이와 2025년 을사년
- [허준혁한방] 추억의 뱀 주사위놀이와 2025년 을사년어릴 때 즐기던 추억의 놀이들이 많다. 그중에서도 뱀 주사위놀이를 빼놓을 수 없다. 주사위를 던져서 100번까지 먼저 가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다. 좋은 일을 하면 상을 받아 몇 칸을 훌쩍 도약하는 넘는 기회는 13번이며 나쁜 일을 해서 벌을 받아 뒤로 돌아가는 경우는 12번이었다.대개의 ...
-
- 무안공항 희생자분들을 추모합니다
- UN 피스코 애도성명무안공항 사고로 희생된 분들을 추모하며 유가족들께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어떤 말도 위로가 되지 않을 참담한 상황입니다. 정부와 당국은 사고 수습과 유가족 지원에 만전을 기하고, 이런 참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대책을 세워주기 바랍니다.이번 사고로 슬픔에 잠긴 모든 분들께 위로와 평강이 있기를 기.
-
- [허준혁한방] '한민족은 세계에서 가장 빼어난 민족' 헐버트 박사의 갈파
- [허준혁한방] '한민족은 세계에서 가장 빼어난 민족' 헐버트 박사의 갈파"한국인은 세계에서 가장 빼어난 민족 중 하나다(Koreans are among the world’s most remarkable people).”평생을 목숨걸고 한국을 사랑한 헐버트 박사가 타계하기 직전인 1949년 7월 미국 ‘스프링필드유니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헐버트 박사의 삶은 조...
-
- [허준혁한방] "영국인이 라틴어를 버린 것처럼..." 헐버트 박사의 예언
- [허준혁한방] "영국인이 라틴어를 버린 것처럼..." 헐버트 박사의 예언“19살 조선 청년이 F와 P의 발음을 구분 못하더니, 두 달이 지난 지금은 하루에 단어를 200개씩 외우고, 영어 해석과 회화도 완벽하다. 굉장히 놀랍다.” (1895년)“조선 학생들의 영어 구사능력은 중국이나 일본보다 훨씬 뛰어나다” (1887년 5월 2일 자)1886년 ...
-
- [허준혁한방] '고요한 아침의 나라'와 헐버트 박사의 반박 이유
- [허준혁한방] '고요한 아침의 나라'와 헐버트 박사의 반박 이유 헐버트 박사의 갈파'고요한 아침의 나라', '은둔의 나라'... 오랫동안 서구에서 인식하는 한국을 상징하는 대표적 표현이었다. 오늘날까지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서구에서 바라보는 좋은 뜻으로 알고 인용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표현 속에는 조선을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