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월(正月)'이라 부르는 이유와 일본식 '근하신년' [허준혁한방]


연말연시면 새해인사로 '근하신년(謹賀新年)'과 '송구영신(送舊迎新)'을 많이 사용한다. 송구영신은 <고려사> 공양왕때도 나올만큼 오래된 말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근하신년은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이라고 되어있다. "근하"와 "신년" 이라는 말은 각각 조선왕조 때도 썼지만 "근하신년"이란 말은 일제 강점기때부터 본격적으로 쓰여지기 시작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근하신년"은 일본에서 들어온 일본식 표현이다. 일본국어사전 <大辞林>에는 "새해를 축하하기 위해 연하장 등에 쓰는 인사말" 이라고 되어 있다. 지금도 일본은 인구가 1억 2천5백만명인데 연하장은 10억장씩 찍어낼 정도로 연하장의 나라이다


일제는 1896년부터 양력을 채용하고 양력 1월1일을 새해 첫날 설날로 강행했다. 이완용 등 일본앞잡이들은 양력 설에 총독이나 관리들에게 일본인들이 잘쓰는 ‘근하신년(謹賀新年)’이라고 쓴 연하장을 보내며 아부를 떨었다.


그러나 우리민족은 ‘일본설’이라 반발하며, 음력 정월 초하루에 조상들께 절을 드렸다. 설이 되면 서로 세배를 다니다보니 엇갈리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나온 풍속이 세함(歲銜)이었다. 백지로 만든 책과 붓, 벼루를 비치해두면 이름을 적어두고 갔다. 이를 통해 집을 비운 사이에 누가 다녀갔는지 알 수가 있었다.


또한 직접 찾아가 인사를 드리지 못하는 경우에는, 인편으로 명함이나 문안단자(問安單子) 등의 서찰을 보냈다. 십장생 등이 그려진 세화(歲畵)를 선물하기도 했다. 


새해 아침에 "근하신년"이라는 뜻도 제대로 모르는 일본식 표현보다는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즐거운 설날되세요"라는 전통적이고 알기쉬운 우리식 인사를 나누는 것이 훨씬 정겹다.


우리 선조들은 새해 첫 달을 1월이라 하지 않고 ‘정월(正月)’, 새해 첫 날을 '정월 초하루'라 부르며 설날 첫 날부터 새해 내내 정직하고 바르게 살기를 다짐했다.


"일출(日出)" 이란 말대신 "해돋이"란 우리말이 자리잡은지 오래이다.

송년회도 해넘이 잔치, 신년회도 새해맞이 잔치 등 멋진 우리말로 바꾸어보면 어떨까? 


영어권에서는 새해인사가 사실상 "Happy New Year" 하나 밖에 없을 정도로 단조롭다. 저마다의 다양하고 독창적인 K-건배사처럼 새해 아침, 새해 인사 역시 창의적인 감각의 순우리말 K-새해인사를 기대해본다.

0
  • 기사등록 2023-12-30 09:16:08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