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신뉴스더보기
-
-
- [허준혁한방] 당구공과 틀니, 생수 페트병과 '기후들병'
- [허준혁한방] 당구공과 틀니, 생수 페트병과 '기후들병'당구공과 틀니당구공과 틀니의 공통점은? 답은 플라스틱이다. 당구가 유행하던 19세기 후반, 뉴욕 당구 협회는 상아로 만들던 당구공을 다른 재료로 만들면 1만 달러를 주겠다고 상금을 내걸었다. 무분별한 코끼리 사냥을 막기 위한 대책이었다.이에 존 웨슬러 하이어트라는 청년.
-
- [허준혁한방] 입춘과 보리밟기
- [허준혁한방] 입춘과 보리밟기입춘의 의미24 절기 중 첫 번째 절기는 ‘입춘(立春)’이다. 보통 2월 4일~5일 사이에 입춘이 시작된다. 드물지만 3일인 경우도 있는데 올해 입춘이 2월 3일이다. 태양의 황경(태양 운동 궤도를 세로로 횡단한 경도)이 315도일 때 입춘이 시작된다. 올해 정확한 입춘 절입시간은 3일 오후 11시 10분이다.전통역...
-
- 생수 담는 플라스틱 병이라도 바꿔야
- 생수 담는 플라스틱 병이라도 바꿔야[김용만 기자]우리나라에서만 매년 56억 병의 생수용 플라스틱 페트병이 생산된다. 지구를 열네 바퀴 돌 수 있는 양이다. 이나 등의 매체들은 전 세계적으로 생수를 마시기 위해 생산되는 플라스틱 페트병이 연간 5000억 병에 근접하며, 이것은 초당 약 1만 6000병이 생산되는 꼴이라고 주장한다. 생수 ...
-
- [허준혁한방] 2월이 짧은 이유와 February의 유래
- [허준혁한방] 2월이 짧은 이유와 February의 유래우리나라가 1년 열두달을 1월(One), 2월(Two), 3월(Three) 등 숫자로 표현하는 것과 달리 서양에서는 January(1월), February(2월), March(3월)처럼 숫자가 아니다.1월을 가리키는 January는 문(door)을 의미하는 'Janua'에서 유래되었다. 얼굴이 두개인 야누스(Janus)는 미래와 과거를 볼 수 있는 '문의 신'으...
-
- [허준혁한방] 섣달그믐 복조리와 복주머니
- [허준혁한방] 섣달그믐 복조리와 복주머니 '설날'을 가리키는 한자어는 많다. 정초(正初), 세수(歲首), 세시(歲時), 세초(歲初), 신정, 연두(年頭), 연수(年首), 연시(年始)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설 또는 설날이라는 우리말이 주는 정취와는 거리가 멀다.비슷한 느낌의 한자어 원단(元旦), 원조(元朝), 정조(正朝), 정단(正旦) 등의 말도 있..
-
- 허준혁한방] K-새해인사와 K-설날인사, 일본식 표현 '근하신년'
- [허준혁한방] K-새해인사와 K-설날인사, 일본식 표현 '근하신년' 설날, 구정, 민속의 날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설날(음력 1월 1일)과 한가위(음력 8월 보름)를 연중 가장 큰 명절로 지냈다. 그러나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 이후 일제 강요에 의한 을미개혁에 따라 1896년부터 전통적 명절인 설날 대신 양력 1월 1일을 ‘신정(新正)’...
-
- UN피스코 2025 꼬꼬무 새해인사장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