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Join
PDF
UN PEACEKOR
이사장 인사말(Greetings)
출범선언문(Statement on the launch)
조직구성
UN피스코소개
오시는길
UN피스코 3기(2025) 비즈니스멤버스 클럽 모집공고
피스코 제3기 비즈니스멤버스 클럽 모집 공고UN피스코 의장단명예 이사장반기문전 유엔사무총장이사장김덕룡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장의장 정영수CJ그룹 글로벌고문고문 승은호코린도 그룹회장고문조병태SONETTE,Inc 회장부의장(가나다순)강태선블랙야크 회장고상구(하노이)제18차 세계한상대회장 베트남 K-MARKET CHAIRMAN전 베트남총연합한인...
사업계획
UN피스코 사업계획(Business Plan)
UN피스코 주요사업(Major History)
유엔피스코 연간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활동소식
사진자료
언론보도
보도자료
간행물
영상자료
생수 담는 플라스틱 병이라도 바꿔야
생수 담는 플라스틱 병이라도 바꿔야[김용만 기자]우리나라에서만 매년 56억 병의 생수용 플라스틱 페트병이 생산된다. 지구를 열네 바퀴 돌 수 있는 양이다. 이나 등의 매체들은 전 세계적으로 생수를 마시기 위해 생산되는 플라스틱 페트병이 연간 5000억 병에 근접하며, 이것은 초당 약 1만 6000병이 생산되는 꼴이라고 주장한다. 생수 시장...
오피니언
자유기고
오피니언
지구촌소식
[허준혁한방] 2월이 짧은 이유와 February의 유래
[허준혁한방] 2월이 짧은 이유와 February의 유래우리나라가 1년 열두달을 1월(One), 2월(Two), 3월(Three) 등 숫자로 표현하는 것과 달리 서양에서는 January(1월), February(2월), March(3월)처럼 숫자가 아니다.1월을 가리키는 January는 문(door)을 의미하는 'Janua'에서 유래되었다. 얼굴이 두개인 야누스(Janus)는 미래와 과거를 볼 수 있는 '문의 신'으...
기자단/봉사단
피스코 기자단
피스코 봉사단
UN피스코 의료봉사단
단 장 김철수 H+양지병원 이사장 수석고문 류덕희 ㈜경동제약 대표 고문 강석기 CJ제약 대표 고문 김철수 (전)대한치과협회 회장 고문 유원하 하남요양병원 이사장 고문 윤덕근 안과의사 고문 윤부남 대한민국기로미술협회 이사장 고문 윤여두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상임공동대표 고문 정영숙 ㈜비아다빈치대표 고문 추무진 전,(사)대...
회원마당
가입인사
기사제보
회원사진방
공익위반사항제보
[법인세법 시행령 제 39조 1항]에 의거 공익위반사항관련 게시
한반도 평화번영 재단은 [법인세법 시행령 제 39조 1항]에 의거하여 공익위반사항 관리 ,갑독기관이 개설한 인터넷 홈페이지를 다음과 같이 게시합니다.-다 음-1. 국민권익위원회https://www.acrc.go.kr/acrc/index.do2. 국세청https://www.nts.go.kr/nts/main.do3. 통일부https://www.unikorea.go.kr/unikorea/
회원가입
Top
검색창 열기
기사 메일전송
HOME
활동소식
사진자료
유엔피스코 2019송년컨퍼런스(1)
편집국 편집국
등록 2020-08-31 11:20:25
수정 2020-08-31 16:35:29
facebook
twitter
band
naverShare
Telegram
목록으로
기사수정
아래링크를 클릭하시면 블로그와 연결되어 사진을 보실수 있습니다
편집국 편집국
다른 기사 보기
0
facebook
twitter
band
naverShare
Telegram
로그인 후,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헤드라인
더보기
생수 담는 플라스틱 병이라도 바꿔야
UN피스코 2025 꼬꼬무 새해인사장모음
국가차원에서 한국어를 제7의 유엔(UN)공용어로 [허준혁 한방]
무안공항 희생자분들을 추모합니다
‘제3회 칼 귀츨라프 글로벌 한글백일장’ 시상식, UN피스코 대회의실에서 개최
한국여성경영자총협회(회장 김순옥), '여경총 3.0버전' 출범선언
2024 제3회 칼 귀츨라프 글로벌 한글백일장 수상자 발표
최신기사
생수 담는 플라스틱 병이라도 바꿔야
[허준혁한방] 2월이 짧은 이유와 February의 유래
[허준혁한방] 섣달그믐 복조리와 복주머니
[허준혁한방] K-새해인사와 K-설날인사, 일본식 표현 '근하신년'
UN피스코 2025 꼬꼬무 새해인사장모음
국가차원에서 한국어를 제7의 유엔(UN)공용어로 [허준혁 한방]
UN피스코 호치민 협의회(회장 이원자), 빈호아 복지시설 봉사활동
UN피스코, 다문화가정에 후원물품 기증식
[허준혁한방] 추억의 뱀 주사위놀이와 '푸른 뱀의 해' 을사년
무안공항 희생자분들을 추모합니다
최신뉴스
더보기
생수 담는 플라스틱 병이라도 바꿔야
생수 담는 플라스틱 병이라도 바꿔야[김용만 기자]우리나라에서만 매년 56억 병의 생수용 플라스틱 페트병이 생산된다. 지구를 열네 바퀴 돌 수 있는 양이다. 이나 등의 매체들은 전 세계적으로 생수를 마시기 위해 생산되는 플라스틱 페트병이 연간 5000억 병에 근접하며, 이것은 초당 약 1만 6000병이 생산되는 꼴이라고 주장한다. 생수 ...
[허준혁한방] 2월이 짧은 이유와 February의 유래
[허준혁한방] 2월이 짧은 이유와 February의 유래우리나라가 1년 열두달을 1월(One), 2월(Two), 3월(Three) 등 숫자로 표현하는 것과 달리 서양에서는 January(1월), February(2월), March(3월)처럼 숫자가 아니다.1월을 가리키는 January는 문(door)을 의미하는 'Janua'에서 유래되었다. 얼굴이 두개인 야누스(Janus)는 미래와 과거를 볼 수 있는 '문의 신'으...
[허준혁한방] 섣달그믐 복조리와 복주머니
[허준혁한방] 섣달그믐 복조리와 복주머니 '설날'을 가리키는 한자어는 많다. 정초(正初), 세수(歲首), 세시(歲時), 세초(歲初), 신정, 연두(年頭), 연수(年首), 연시(年始)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설 또는 설날이라는 우리말이 주는 정취와는 거리가 멀다.비슷한 느낌의 한자어 원단(元旦), 원조(元朝), 정조(正朝), 정단(正旦) 등의 말도 있..
허준혁한방] K-새해인사와 K-설날인사, 일본식 표현 '근하신년'
[허준혁한방] K-새해인사와 K-설날인사, 일본식 표현 '근하신년' 설날, 구정, 민속의 날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설날(음력 1월 1일)과 한가위(음력 8월 보름)를 연중 가장 큰 명절로 지냈다. 그러나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 이후 일제 강요에 의한 을미개혁에 따라 1896년부터 전통적 명절인 설날 대신 양력 1월 1일을 ‘신정(新正)’...
UN피스코 2025 꼬꼬무 새해인사장모음
국가차원에서 한국어를 제7의 유엔(UN)공용어로 [허준혁 한방]
국가차원에서 한국어를 제7의 유엔(UN)공용어로 [허준혁 한방]유엔의 6개 공용어 지정유엔의 공식 언어는 영어(영국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중국어(표준 중국어와 간체), 스페인어, 아랍어(현대 표준 아랍어) 이다. 성명을 발표하기 위해서는 6개 공식 언어들 중 하나로 작성된 통역이나 번역된 서면 문서를 제출해야만 된다. 6개 언어의 문...
UN피스코 호치민 협의회(회장 이원자), 빈호아 복지시설 봉사활동
UN피스코 호치민 협의회(회장 이원자)에서 1월 19일 동나이성 빈호아에 있는 복지시설(신생아, 미혼모, 고아, 장애아, 무의탁 노인= 70명)을 방문하였다. UN피스코 호치민 협의회(회장 이원자)에서 1월 19일 동나이성 빈호아에 있는 복지시설(신생아, 미혼모, 고아, 장애아, 무의탁 노인= 70명)을 방문하였다. 생명의 가치를 누구보다 소중...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