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종철 발제문] 북한의 새로운 길의 전략과 북미협상 전망
- 북한의 새로운 길의 전략과 북미협상 전망 박종철(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 1. 북한의 새로운 길의 전략과 딜레마 북한은 연말에 ‘새로운 길’을 ...
- 2020-01-17
-
- [김영윤 발제문] 북한의 자력경생노선과 남북경협의 과제
- 북한의 자력경생노선과 남북경협의 과제 김영윤 (사)남북물류포럼 대표 북한은 2019년 12월 28일부터 31일까지 개최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
- 2020-01-17
-
- 정부의 '남북관계' 강조..'개별관광' 실현되나?
- [TF초점] 정부의 '남북관계' 강조..'개별관광' 실현되나?by. 박재우입력 2020.01.16. 05:00이미지 크게 보기문재인 대통령의 신년사에 이어 강경화 외교부...
- 2020-01-17
-
- 노영민 "금강산관광·대북 개별방문, 언제든 이행가능..검토중"(종합)
- 노영민 "금강산관광·대북 개별방문, 언제든 이행가능..검토중"(종합)by. 임형섭입력 2020.01.16. 21:19호르무즈 파병문제에 "안보구상 일원 아니어도 국민보호 ...
- 2020-01-16
-
- 통일부 "대북제재 틀 저촉 안되는 독자적 남북협력안 선별"
- 통일부 "대북제재 틀 저촉 안되는 독자적 남북협력안 선별"by. 백소용입력 2020.01.16. 18:42통일부 "北 태도 보며 현실적 방안 강구"/ 방미 이도훈 "개별관광 미국과...
- 2020-01-16
-
- 남북 전통의학 용어 표준화 모색
- 남북 전통의학 용어 표준화 모색by. 박희윤 기자입력 2020.01.16. 13:34한의학연, 남북 전통의학 용어 표준화 토론회 개최이미지 크게 보기한국한의학연구원 김종...
- 2020-01-16
-
- 남북 전통의학 용어 표준화 모색
- 남북 전통의학 용어 표준화 모색by. 박희윤 기자입력 2020.01.16. 13:34한의학연, 남북 전통의학 용어 표준화 토론회 개최이미지 크게 보기한국한의학연구원 김종...
- 2020-01-16
-
- UN피스코 소개
- (사)UN한반도평화번영재단 소개 1. 명칭·연혁 □ (사단법인) 유엔한반도평화번영재단은 2019년 10월 16일 주무관청(통일부)으로부터 법인설립허가를 취득...
- 2020-01-16
-
- [월간중앙] 김덕룡 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의 국가론
- [월간중앙] 김덕룡 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의 국가론 [중앙일보] 입력 2019.12.29 00:03 신인섭 기자 ...
- 2020-01-16
-
- "북한 관광 자유화하자"…남한판 '정면돌파' 목소리
- "북한 관광 자유화하자"…남한판 '정면돌파' 목소리 최종수정 2020.01.08 18:21 기사입력 2020.01.08 18:21 UN피스코 '北 새로운길' 대...
- 2020-01-16
-
- 대통령 신년사에 반응 없는 북한...북 움직일 방법은 이것?
- 대통령 신년사에 반응 없는 북한...북 움직일 방법은 이것? 전문가들 "북한이 원하는 건 '한미연합훈련 중단'... 문 대통령, 미국 설득해야"20.01.09 10:44l최종 업데...
- 2020-01-16
-
- “남과 북・재외동포와 협력 ‘민족공동체’ 건설”
- 평화 안보 / UN한반도평화번영재단 역사적 출범[위클리서울=한성욱 선임기자] 5000만 국민과 재외국민, 해외동포, 평화를 애호하는 유엔, 국제기구, 가...
- 2020-01-16
-
- UN피스코 출범대회 공지
-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해외동포와 재외국민, 모국민의 국민합의를 이루고 UN과 국제기구 등 국제협력을 이끌어내고자하는 플랫폼 UN피스코(UN한반도평...
- 2020-01-16
-
- UN피스코 조직도
- 2020-01-16
-
- UN피스코 창립취지
- 한반도의 평화 그리고 남북한의 공동번영은 평화통일로 가는 필수적인 과정이자 길입니다. 이 길로 나아가기위해서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현 정전체제를...
- 2020-01-16
-
- 유엔피스코 '북한의 새로운 길' 주제 포럼 개최…"정부, 대화창구 가동·체육교류 추진 필요"
- 유엔피스코 '북한의 새로운 길' 주제 포럼 개최…"정부, 대화창구 가동·체육교류 추진 필요"기사입력 2020-01-08 17:58:43 통일부 산하 유엔피...
- 2018-11-20
- 최신뉴스더보기
-
-
- [허준혁한방] 당구공과 틀니, 생수 페트병과 '기후들병'
- [허준혁한방] 당구공과 틀니, 생수 페트병과 '기후들병'당구공과 틀니당구공과 틀니의 공통점은? 답은 플라스틱이다. 당구가 유행하던 19세기 후반, 뉴욕 당구 협회는 상아로 만들던 당구공을 다른 재료로 만들면 1만 달러를 주겠다고 상금을 내걸었다. 무분별한 코끼리 사냥을 막기 위한 대책이었다.이에 존 웨슬러 하이어트라는 청년.
-
- [허준혁한방] 입춘과 보리밟기
- [허준혁한방] 입춘과 보리밟기입춘의 의미24 절기 중 첫 번째 절기는 ‘입춘(立春)’이다. 보통 2월 4일~5일 사이에 입춘이 시작된다. 드물지만 3일인 경우도 있는데 올해 입춘이 2월 3일이다. 태양의 황경(태양 운동 궤도를 세로로 횡단한 경도)이 315도일 때 입춘이 시작된다. 올해 정확한 입춘 절입시간은 3일 오후 11시 10분이다.전통역...
-
- 생수 담는 플라스틱 병이라도 바꿔야
- 생수 담는 플라스틱 병이라도 바꿔야[김용만 기자]우리나라에서만 매년 56억 병의 생수용 플라스틱 페트병이 생산된다. 지구를 열네 바퀴 돌 수 있는 양이다. 이나 등의 매체들은 전 세계적으로 생수를 마시기 위해 생산되는 플라스틱 페트병이 연간 5000억 병에 근접하며, 이것은 초당 약 1만 6000병이 생산되는 꼴이라고 주장한다. 생수 ...
-
- [허준혁한방] 2월이 짧은 이유와 February의 유래
- [허준혁한방] 2월이 짧은 이유와 February의 유래우리나라가 1년 열두달을 1월(One), 2월(Two), 3월(Three) 등 숫자로 표현하는 것과 달리 서양에서는 January(1월), February(2월), March(3월)처럼 숫자가 아니다.1월을 가리키는 January는 문(door)을 의미하는 'Janua'에서 유래되었다. 얼굴이 두개인 야누스(Janus)는 미래와 과거를 볼 수 있는 '문의 신'으...
-
- [허준혁한방] 섣달그믐 복조리와 복주머니
- [허준혁한방] 섣달그믐 복조리와 복주머니 '설날'을 가리키는 한자어는 많다. 정초(正初), 세수(歲首), 세시(歲時), 세초(歲初), 신정, 연두(年頭), 연수(年首), 연시(年始)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설 또는 설날이라는 우리말이 주는 정취와는 거리가 멀다.비슷한 느낌의 한자어 원단(元旦), 원조(元朝), 정조(正朝), 정단(正旦) 등의 말도 있..
-
- 허준혁한방] K-새해인사와 K-설날인사, 일본식 표현 '근하신년'
- [허준혁한방] K-새해인사와 K-설날인사, 일본식 표현 '근하신년' 설날, 구정, 민속의 날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설날(음력 1월 1일)과 한가위(음력 8월 보름)를 연중 가장 큰 명절로 지냈다. 그러나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 이후 일제 강요에 의한 을미개혁에 따라 1896년부터 전통적 명절인 설날 대신 양력 1월 1일을 ‘신정(新正)’...
-
- UN피스코 2025 꼬꼬무 새해인사장모음